본문 바로가기

기업분석/제조업

2.화학소재군 _코오롱(Kolon)- 취업용기업분석(코오롱)

2.화학소재군 _코오롱(Kolon)- 취업용기업분석(코오롱)




1)오롱인더스트리 화학부문


당 지배회사의 화학소재부문에서는 석유수지, 하이레놀, 하이록시, 건자재(PU/TPU), 복합소재(GRP관/맨홀) 등을 생산 및 판매하고 있으며, 자동차산업, 조선산업, 전자산업, 건축산업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.

당 지배회사는 국내 유일의 석유수지 제조업체로서 국내시장에서 우월적인 경쟁력을 가지고 있습니다. 석유수지는 신흥 성장국(중국, 동남아, 인도, 브라질, 러시아 등)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으며, 이 중 위생용 접착제 용도로 주로 사용된 수첨석유수지의 성장율이 상대적으로 좀 더 높은 편입니다. 석유수지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어, 세부적인 용도별로는 산업별 경기변동에 따른 특성의 차이가 나지만, 석유수지 제품 전체적으로는 경기변동에 영향을 적게 받는 편입니다. 석유수지제품 중 도로차선 표시용은 계절적으로 공사가 가능한 봄, 가을에 판매가 집중되는 편이고, 나머지 용도는 특별히 계절적 비수기, 성수기 구분이 없는 편입니다. 또한, 당 지배회사의 석유수지 제품 가격이 고가군에 위치해 있음에도 안정적인 원료소싱을 통해 좋은 품질의 제품으로 경쟁사 대비 안정적인 공급을 유지하고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기에 세계 유수 거래선들과 꾸준한 거래를 하고 있습니다.

하이레놀 및 하이록시는 자동차업종, 선박업종 및 전자재료업종 등과 크게 연관되어 있으며, 현재 자동차업종의 호황에 의한 수요증대로 실적개선 등 꾸준한 성장이 기대되고 있습니다. 하이레놀은 페인트, 타이어, 전자재료, 주물 등 다양한 용도에 적용되고 있으며, 당 지배회사는 페놀수지 생산업체 중 국내 1위, 아시아 2위의 생산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. 또한 하이레놀 공장 중 김천2공장은 2009년 리뉴얼을 통한 최신 자동화 생산설비를 보유하여, 타 페놀수지 메이커 대비 생산/품질적으로 안정된 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. 자동차, 조선, 전자재료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하이레놀은 경기 동향에 영향을 받을 수도 있지만, 하이레놀은 다양한 용도에 널리 적용되므로, 전반적인 매출영향은 크지 않습니다.

당 지배회사의 하이록시사업은 에폭시수지의 원료가 되는 페놀수지 등을 직접 생산하므로 원료 구입과 품질유지 면에서 장점을 갖추고 있습니다. 특수에폭시 분야에서는 아시아 1위의 생산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Halogen Free, Lead Free 등 친환경 제품의 수요 증가에 따라 향후 안정적인 판매확대를 예상하고 있습니다. 대부분의 고객사가 중국, 일본 등 동북아시아에 공장을 운영중이며, 다국적 기업 및 일본/대만계 업체와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상황입니다. 하이록시는 전자제품의 수요에 따른 경기의 영향이 크며 도료, 건설 등의 경기도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습니다.

당 지배회사의 폴리우레탄(PU)은 특허와 신기술을 인정받아 주택공사 및 종합건설사의 설계시방에 참여할 정도로 품질의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고, 우레탄 육상트랙 역시 국내 최고 시공력으로 최대 시공실적을 보유하고 있습니다. 방수, 바닥재용의 경우 건설경기 악화, 저가대체재 출현 등으로 M/S 축소 현상이 나타나기도 하지만 중금속 Free 제품 등 친환경 제품 비중을 확대중입니다. 열가소성폴리우레탄(TPU) 역시 산업계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고부가가치 소재로서 장기적으로 산업구조의 고도화와 더불어 다양한 분야에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

유리섬유복합관(GRP PIPE)/ 맨홀(GRP MANHOLE)은 배관자재로서 상수 및 하수 시장에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. 세계적으로 미국, 유럽, 일본 등 선진국 뿐만 아니라 중동, 아프리카, 중앙아시아 등 개발도상국들에서도 강관, 주철관과 같은 오랜 전통을 가진 배관자재를 빠른 속도로 대체해 나가고 있는 추세입니다. 당 지배회사는 대기업으로서의 보증능력과 본사 중심의 마케팅 능력, 그룹 내 역량 활용 등의 강점을 바탕으로 판매량 확대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. GRP제품은 토목, 건설경기 변동에 민감하며, LH, 수자원공사 등의 공사 적자 확대에 따른 저가자재 선호 추세도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.